[한국어 공부] 헷갈리는 맞춤법(붇다/불다/붓다, 받치다/받히다/밭치다)
한국어능력시험에 대비해 헷갈리는 맞춤법 알아보겠습니다.
붇다 / 붓다
[문제]
1. 재산이 부는/불리는/붇는 재미에 열심히 일한다.
2. 북어포가 물에 불어/불려 부드러워지다.
3. 매달 적금은 꼬박꼬박 붓고/붇고 있니?
[정답]
1. 붇는
2. 불어
3. 붓고
1. 붇다
「1」 물에 젖어서 부피가 커지다.
- 물에 담가놓은 콩이 붇다.
- 북어포가 불어 부드러워졌다.
- 불은 라면은 맛이 없었다.
「2」 분량이나 수효가 많아지다.
- 강이 붇다.
- 체중이 붇다.
2. 붓다 1
「1」 살가죽이나 어떤 기관이 부풀어 오르다.
- 얼굴이 붓다.
- 눈이 붓다.
「2」 성이 나서 뾰로통해지다.
- 왜 잔뜩 부어 있니?
붓다2
「1」 액체, 가루를 다른 곳에 담다.
- 냄비에 물을 붓다.
「2」 불입금, 이자, 곗돈 등을 일정한 기간마다 내다.
- 은행에 적금을 붓다.
받치다/받히다/밭치다
[문제]
1. 급하게 먹은 아침밥이 받쳐서/바쳐서/받혀서 점심은 먹지 못하겠다.
2. 시골에 계신 할아버지가 소에게 받쳐서/받혀서/밭혀서 허리를 다치셨다.
3. 상추를 씻어서 채반에 밭쳐/받혀/바쳐 놓아라.
4. 음식을 담은 접시를 쟁반에 받혀서/받쳐서 손님께 가져가야 한다.
[정답]
1. 받쳐서
2. 받혀서
3. 밭쳐
4. 받쳐서
1. 받치다1
「1」 먹은 것이 소화되지 않고 치밀다.
- 점심에 먹은 것이 자꾸 받치다.
「2」 단단한 곳에 닿은 몸의 부분이 아프게 느껴지다.
- 맨바닥에서는 등이 받쳐서 잠을 자지 못하겠다.
받치다2
물건의 밑, 옆 따위에 다른 물체를 대다
- 커피잔 아래에 쟁반을 받치다.
2. 받히다
머리나 뿔 따위에 세차게 부딪히다. '받다'의 피동사
- 소에게 받혀서 크게 다쳤다.
- 길을 건너다 승용차에 받힐 뻔 했다.
3. 밭치다
구멍이 뚫린 물건 위에 국수, 야채 따위를 올려 물기를 빼다.
- 채소를 씻어 채반에 밭쳐 놓아라.
- 삶은 국수를 체에 밭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