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KBS한국어능력시험이 얼마 남지 않았어요.
최근 기출에 출제되었던 한자어를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부정
1. 不正(아닐 부, 바를 정)
올바르지 않거나 옳지 못함
(예) 부정을 방지하다.
2. 否定(아닐 부, 정할 정)
그렇지 않다고 단정하거나 옳지 않다고 반대함
(예) 긍정도 부정도 아닌 대답이 돌아왔다.
3. 不淨(아닐 부, 깨끗할 정)
깨끗하지 못함. 더러운 것
사람이 죽는 따위의 불길한 일
(예) 부정이 들다.
관용
1. 寬容(너그러울 관, 얼굴 용)
남의 잘못 따위를 너그럽게 받아들이거나 용서함.
(예) 관용을 베풀다.
2. 慣用(익숙할 관, 쓸 용)
습관적으로 늘 쓰는 것
오랫동안 써서 굳어진 대로 씀
(예) 관용 수단, 관용 표현
3. 官用(벼슬 관, 쓸 용)
정부 기관, 공공 기관에서 사용함
(예) 관용 차량을 이용하다.
단신
1. 單身(홑 단, 몸 신)
배우자나 형제가 없는 사람, 혼자의 몸
(예) 가족을 모두 잃은 그녀는 지금껏 단신으로 살았다.
2. 短信(짧을 단, 믿을 신)
짧게 쓴 편지, 짤막하게 전하는 뉴스
(예) 단신을 통해 그의 소식을 알게 되었다.
3. 短身(짧을 단, 몸 신)
작은 키의 몸
(예) 단신을 극복한 그는 세계적인 선수가 되었다.
KBS한국어능력시험에는 위와 같이 한자어의 쓰임에 맞게 쓸 수 있는지 평가하는 문제가 출제됩니다.
그는 '_ _'을 베풀어 그녀를 용서하기로 했다. 와 같은 문장에서 '관용'의 맞는 한자어가 무엇인지 묻는 식으로 출제되는 것이죠.
매우 어려운 부분이지만 열심히 공부해서 꼭 KBS 고등급 받으시길 바랍니다. :-)
728x90
반응형
'시험, 공부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KBS한국어능력시험 74회(23.08.20.) 시험 후기-영원중학교(신길) (16) | 2023.08.21 |
---|---|
[한국어 공부] KBS한국어능력시험 기출 한자성어 (9) | 2023.08.17 |
[한국어 공부] 헷갈리는 맞춤법(개재/게재/계제, 가늠/가름/갈음, 겉잡다/걷잡다) (41) | 2023.08.07 |
[한국어 공부] 헷갈리는 맞춤법(붇다/불다/붓다, 받치다/받히다/밭치다) (20) | 2023.08.04 |
[자격증 정보] 회계 관련 자격증 비교(전산세무회계, AT, ERP, 회계관리, 재경관리사) (36) | 2023.08.03 |